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r5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애니메이션에서 유로비트를 채용했듯이 게임에서도 유로비트를 BGM으로 선택이 가능하다. 집중력 향상을 위해 BGM을 OFF할 수도 있다. 오프닝 곡은 슈퍼 유로비트 앨범 109집에 등장하는 MICKEY.B의 TAKE ME BABY. 이니셜 D의 극장판인 Third Stage 삽입곡이다. 엔딩곡은 Super Eurobeat 124집 수록곡인 Dave Rodgers의 The Race is Over. Third Stage의 마지막 배틀을 장식하는 곡이다. ||오프닝||Take Me Baby ||Mickey B|| ||맵선택||Live In Tokyo ||Kelly Wright|| ||[[묘우기]]||Space Boy ||Dave Rodgers|| ||[[우스이]]||Love Is In Danger ||Priscilla|| ||[[아키나]]||Grand Prix ||Mega NRG Man|| ||[[아키나]] (vs [[후지와라 분타| 분타]])||Beat of the Rising Sun ||Dave Rodgers|| ||[[하포가하라]]||Heartbeat ||Nathalie|| ||기타 맵들||Don't Stop The Music ||Lou Grant|| ||엔딩||The Race Is Over ||Dave Rodgers|| 타임 어택시 START 버튼을 짧게 누르면 기록 페이지가 전환되고, 길게 누르면 헤드라이트가 꺼진다. 다만 물리적으로 완전히 어둡게 보이지 않고 반사판이 여전히 빛나는 세세한 버그가 남아있다. 기어를 AT로 해놔도 시프트 다운은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아무래도 원작에서 AE86을 운전하다보니 실제 기계에서도 왼쪽에 변속기가 달린 일본식 차량을 재현했고, 기어봉을 위로 올리면 쉬프트다운, 기어봉을 내리면 쉬프트업이 된다. 최초 작품부터 Version 3까지는 기어봉의 위치가 핸들과 같은 높이에 있었고 이게 리얼리티를 떨어트린다는 의견이 많았고, 그 덕분에 4부터는 일반차량처럼 아래로 내려왔다. [[2013년]]에 버전3의 오리지널 BGM(차량 선택 등)을 수록한 Initial D Sega Original Sound Track 1, 버전4-7을 수록한 2, 스페셜 스테이지를 수록한 3이 각각 발매되었다. 일본 Itunes Store에서 구매 가능. 2024년 12월 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이 시리즈를 가진 오락실은 없으며 잔존 기체들은 대부분 폐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국인 일본에는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sion=66, uuid=b2e42866-e454-4c81-9a13-4e227dbded67)] [[분류:이니셜D/게임]][[분류:게임화/2002년]][[분류:2002년 아케이드 게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